본문 바로가기

화가 이야기4

아이들의 눈으로 그린 세상: 장난감 검과 이상한 어른들 누구나 어린 시절이 되면세상이 달라 보였던 순간이 있다.평범한 나뭇가지가 마법 지팡이로 보이고,골목길이 미로 같았던 때.폴란드 화가타데우즈 마코프스키(Tadeusz Makowsk)는그 순간을 놓치지 않았다.타데우즈는 아이들의 눈으로 세상을 다시 그린다. 장난감 검이 진짜가 될 때《Swordsmen》을 보면아이들이 장난감 검을 들고 서 있다.문 앞에 선 한 아이와다른 편인 듯 숨어 있는 아이들.얼굴에는 미소가 가득하지만,문을 사이에 두고 검을 겨눌 그때를사뭇 진지하게 기다리고 있다.어른들 눈에는 마냥 장난처럼 보이지만아이들 눈빛만큼은 이미 중세의 기사다. 등불이 마법이 되는 밤《 Children with Torches 》의 아이들은축제를 기다리고 있다.동그란 등불은 아이들의 마음처럼 반짝인다.빨간색, 노란.. 2025. 1. 18.
고흐의 자화상 3편: 거울 앞에 선 화가의 용기 자화상고흐는 거울 앞에 섰다.그의 말처럼 '모델이 없어서'였을까.아니면 자기 내면을 들여다보고 싶어서였을까.거울은 그에게 특별한 창문이 되었다.자화상을 그리는 동안고흐는 화가이자 모델이었고,관찰자이자 피 관찰자였다. 자기 얼굴을 그리는 일은,자신과의 긴 대화였는지도 모른다.고흐는 스스로와 마주하며30점 이상의 자화상을 남겼다.그중 세 편의 자화상이 들려주는 이야기에귀를 기울여 보자.  밀짚모자의 노란 빛파리의 빛은고흐의 팔레트를 바꾸어놓았다.네덜란드의 어둡고 무거운 색채는잠시 팔레트 한편에 밀려났다.노란 밀짚모자 아래로 쏟아지는 빛이얼굴을 따스하게 비추고붉은 수염을 생기있게 물들인다.부드러운 붓 터치 사이로파리의 맑은 공기가 스며든다.이 자화상에는 드물게 평온함이 깃들어 있다.마치 새로운 빛을 발견한고흐.. 2025. 1. 7.
에곤 실레가 그린 뒷모습의 비밀: 등을 돌린 여인들 시선의 시작 누군가의 뒷모습을그리는 일은 어떤 의미일까.정면으로 마주하지 않고,등을 돌린 순간을 포착하는 일.에곤 실레(Egon Schiele)는여러 점의 뒷모습을 남겼다.  소녀의 뒷모습 《Standing Girl, Back View》의 소녀는푸른 드레스 자락을 휘날리며 서 있다.양말 위로 살짝 드러난 맨살,고개를 살짝 돌린 그 자세에는기다림 같기도, 거절 같기도 한양가적 감정이 담겨있다.마치 누군가를 향해 돌아설 듯 말 듯,그 모호한 순간을 그림에 담았다. 여인의 뒷모습 《Crouching Nudein Shoes and Black Stockings》에서는웅크린 자세로 등을 보이는 여인을 그렸다.검은 스타킹과 신발만이 유일한 장식인 채,맨살에는 연한 살굿빛 물감이 번진다.단 몇 개의 선으로 잡아낸 등의.. 2025. 1. 4.
고흐가 사랑한 일상: '고흐의 방'부터 '오베르의 밀밭'까지 고흐의 방커다란 침대가 눈에 띈다.노란빛 침대는햇살 한 조각을 방 안에 고정한 것 같다.연한 라일락 빛 벽과 낡은 붉은 바닥,창가에 놓인 푸른 세숫대야까지. 동생 테오에게 보낸 편지에서 고흐는색의 섬세한 조화를 이야기했다.서로 다른 색조가 만나완전한 휴식을 그려내길 바랐다고.고흐의 뜻대로 이 작은 방에는평화로운 순간이 머문다. 바깥세상의 혼돈을 잠시 잊고영혼이 쉬어갈 수 있는 곳.고흐가 그토록 바라던 평화로운 순간. 낡은 신발 한 켤레의 낡은 신발.닳아 해진 가죽에 스민 먼지와 주름들.1888년, 아를로 이사한 후 고흐는이 신발을 정물화로 그렸다.'삶이란 이런 것이다'라는 말을그림으로 표현한 것 같다.이 신발은 단순한 소품이 아니다.고흐에게는 길 위에서 살아가는인생의 초상과 같았다.신발의 무게는 고흐의 .. 2024. 12. 17.